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2)
DAILY_07 배운내용을토대로 카카오톡 앱 화면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아보자 카카오톡 5가지 메인화면을 화면 구조 분석 → 디자인 원칙 기반 분석 → 개선점 찾기 순서로 정리해보자. 1. 화면 구조 분석 수업 중 튜터님께서 분류하신 바를 참고하여, 나도 화면구조를 분류해보았다. 아직 각 요소들의 이름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지만, 보편적으로 쓰이는 네이밍에 익숙해지려 노력하려한다. 2. 디자인 원칙 기반 분석 좋은 사례 ① 상품 소개 섹션의 가독성이 높은 것 [시각적 위계 충족] : UX 비주얼 디자인 원칙에서 말하는 시각적 위계를 충족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컨텐츠의 중요도에 따라 텍스트의 크기가 달라지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가 무얼 담고 있는지 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아래의 왼쪽이미지는 '요즘대세! 라이브..
DAILY_06 디자인 원칙의 실제 사례 찾아보기 수업중에 배운 디자인 원칙들, [게슈탈트 심리학] [UX 비주얼 디자인 원칙] 중 각각 3가지의 원칙들을 골라, 해당 원칙이 실제로 잘 적용된 사례가 있는지 찾아보자. 1.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3가지를 골라 실제 사례를 찾아보자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제시하는 세부 원칙들로는 다음과 같이 5가지가 있다. [유사성의 원리] [근접성의 원리] [폐쇄성의 원리] [연속성의 원리] [공통성의 원리]. 이중에서 근접성, 연속성, 공통성의 원리가 잘 적용된 사례를 찾아 나열해보겠다. ① 근접성의 원리 [배달의 민족] 개인과제를 하면서도 다루었던 부분이지만, 배달의 민족은 UI구성에 있어 이미 세심한 고민들이 담긴게 느껴진다. 근접성의 원리에 따라 서로다른 서비스 영역을 간단한 여백을 ..
DAILY_05 11번가 앱의 홈화면을 검토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그에 맞는 솔루션 도출해보기 11번가 앱의 페이지들을 수업중 배운 방법론들을 활용하여 분석해보고 솔루션을 도출해보자. 방법론을 활용해 해당앱 홈화면의 문제점을 도출해보고, 솔루션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HIG, Material Design Guide, 디자인 원칙 등을 활용하여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연습을 해보자. *이번 실습에서는 홈화면 분석에만 집중해보자. 1. 제품의 주요 사용자는 누구인가? 내가 이해하기로는, 수업 중 배운 다지인씽킹 중 1단계, 즉 '공감하기'를 통해 사용자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을 요구하는 것 같다.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인가? 그 사용자는 무슨 생각과 감정을 느끼고,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어있는가? 를 질문하며 문제점 도출을 위한 초..
DAILY_04 테스트케이스 작성 + 디자인 QA로 발견한 이슈 공유하기 뱅크샐러드 앱의 첫 시작인 휴대폰본인인증 절차에 관해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해 보고, 가상의 QA를 실시해 발견된 문제점을 사내 메신저를 통해 엔지니어에게 전달하는 것 까지 실습해보자. 1. 테스트 케이스 작성 * 테스트케이스 [TEST CASE] : QA를 적절하게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문서로서, 특정조건에서 의도하는 요구사항이 적절하게 충족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체크할 리스트를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구체적인 조건의 설정(테스트를 진행할 시 입력할 텍스트의 값까지 설정해줘야함)이 필요하고, 보통의 범주에 들어가는 상황말고, 예외적이거나 생각지 못한 디테일한 상황을 상정하는게 실제 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는 테스트케이스 작성법이라고 한..
DAILY_03 디자인씽킹을 활용해 개선 아이디어 도출하기 *디자인싱킹: 결국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문제를 찾고, 제품을 만들고, 검증하는 그런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말하는 것. 다음과 같이 총 5단계가 있다. [1단계: 공감하기] [2단계: 문제 정의하기] [3단계: 아이디어 발산하기] [4단계: 프로토타입 만들기] [5단계: 테스트하기]. 그러므로, 이번에 얻어볼 개선 아이디어는 총 1단계~3단계까지의 과정을 거쳐 도출 될 것이고, 그 대상은 스카이스캐너 홈 화면이다. 1단계: 공감하기 : 쉽게말해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단계다. 사용자라면 이때 어떤 행동과 패턴을 보여줄까, 기본적 생활방식은 어떻게 되는가, 그들의 관심사와 평소 생각은 무엇인가 등 질문을 던지며 그들에게 한발짝 더 다가간다. 수업 중 ..
DAILY_02 배운 것들을 토대로 내가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분석해보기 : UXUI 디자이너에게 기초가 되는 디자인 가이드 [HIG, MD]를 활용하여 내가 자주 사용하는 앱을 선정하고, 그 앱 내에 배치된 요소를 골라 제시된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지 비교분석해보자. * HIG[Human Interface Guidelines], MD[Material Design]: 애플과 구글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이라고 한다. 사내 디자이너들이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거나 운용할 때 지켜야 할 가이드라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앱스토어나 구글플레이에 앱서비스를 등록하려는 서비스 주체들이 지켜야하는 가이드라인이기도 하단다. 현재 전세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컴퓨터 운영체제의 99%는 애플과 구글이 시작했고 독식하고 있기에, UXU..
WEEKLY_01 본캠프 개인과제를 하며 느낀 것들 [튜터님의 피드백 후] : 캠프의 첫 시작과 함께 해보았던 웹/앱 메인페이지 클로닝 과제에 대해 복기해보고 느낀 점들을 적어보자. 실제적으로 어떤 것을 클로닝 할 수 있게 됐고, 피그마의 어떤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는지는 어제의 기록[DAYILY_01]에 더 자세히 남겼으므로, 오늘 새롭게 알게된 주관적 깨달음들을 위주로 간단히 적는것으로 하겠다. 1. 나는 무엇을 배웠나? : 통일성, 규칙성. 디자이너는 틀을 구성할 줄 알아야 한다. 그 틀을 구성함에 있어 규칙성과 통일성을 따르는건 사용자에게 효율적 메세지 전달을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디자이너 본인의 작업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2. 그 배움에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는가? : 나는 아무래도 이번 개..
DAILY_01 본캠프 개인과제를 하며 느낀 것들 : 캠프의 첫 시작과 함께 해보았던 웹/앱 메인페이지 클로닝 과제에 대해 복기하고 배운 점과 아쉬웠던 점을 적어보자. 1. 나는 무엇을 하였나? 앱은 아니지만 모바일에서 구현되는 웹을 클로닝하기로 하였다. 예전부터 UI 디자인이 참 세련되고 멋지다 생각했던 'NATIONAL GEOGRAPHIC' 웹 페이지를 선택했다. 수업 때 배운 컴포넌트와 오토레이아웃들을 활용해 실습하고 연습해보기에 딱 적절한 구성인 것 같았다. 그들이 선택한 폰트, 또 그 폰트를 타이틀과 본문에 사용할 때의 사이즈 조절과 배치가 참 인상 깊었다. ① 폰트, 컬러 스타일 따기 : 과제 가이드에는 클로닝을 진행할 웹/앱의 주요 폰트나 컬러를 스타일로 정리할 것을 추천했다. National Geogr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