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2) 썸네일형 리스트형 [PRE] WEEKLY_04 피그마의 여러 기능들[플러그인 포함]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 템플릿을 만들어보자 : 4주차 수업을 마무리하며 수업에서 배웠던 여러가지 기능들을 종합하여, 예시로 제공된 포트폴리오를 참고해 나만의 간단한 템플릿을 만들어보자. 1. 목업(Mock-up) 플러그인 활용하기 * 목업(Mock-UP)은 실제 제품을 만들기 전 실물크기의 모형을 뜻한다. 즉, 피그마, 특히 포트폴리오에서의 목업 이미지 활용이란, 내 디자인 작업물을 실제 제품에 구현한 것처럼 디지털 상의 목업을 만들어주는 기능을 말하는 것이다. 내가 만든 앱 화면디자인이 실제 아이폰 화면에 띄어져 있는 듯한 이미지를 구현해보는 것이 그 예이다. ① 적용하고 싶은 목업 틀 가져오기 :목업 작업을 위한 플러그인이 있으므로 실행시켜준다. 'Find'에서 자.. [PRE] WEEKLY_03 클릭하면 이동하는 피그마 프로토타이핑 만들어보기 : 3주차 수업을 마무리하며 수업에서 배웠던 프로토타이핑을 실제로 만들고 구현해보자. *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은 상품을 시장에 내놓기 전에 그 성능이나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는지 사전에 먼저 구현하거나 검토해보는 것을 말한다. 웹/앱에서 구현하고 싶은 기능이 있을 때 그것이 실제로 사용자에게 어떻게 보일지 미리 시연하며 개선사항을 검토할 수 있게 도와준다. ① 프로토타입 모드 설정하기 : 앱화면을 가정하고 흐름에 따라 구현하고 싶은 화면(혹은 컴포넌트)을 나열한다. 프로토타이핑을 해보기 위해 플로우를 지정하려면, 오른쪽 툴바의 상단에 있는 Prototype을 클릭해보자. 그럼 아래 이미지와 같이, 구현하고자 하는 각 프레임의 바깥모서리에 흐름선.. [PRE] WEEKLY_02 오늘 강의를 통해 배운 가장 큰 부분은 '오토 레이아웃'이다. 단순한 그룹핑과 오토레이아웃의 가장 큰 차이는 '자동 변경'이란 요소인 것 같다. 사실 아직 이해가 잘 안된다. 요소간 정렬? 요소간 자동사이즈 조절? 패딩이나 리사이징을 두고 HUG나 FILL의 기능이 정확히 뭔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원리를 파악하지 못했다. 오늘 사용가능했던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이곳에 쏟아부었는데도 명쾌하게 답을 얻지 못해 찜찜하다. 오토 레이아웃이든 컴포넌트 설정이나 버라이언트 같은 것들이든 뭐든, 전부 작업 능률을 높이기에 사람들이 활용하고 또 이렇게 교육내용에 포함되는 것일 거다. 일단 좀 자고 다시 처음부터 해보자. *아래는 사전캠프 강의 2주차 과제, 오토 레이아웃을 활용한 자신의 장점버튼 5개 만들어보기이다.. [PRE] WEEKLY_01 피그마에서 '플로우 차트' 플러그인을 이용해 유저 플로우 만들어보기 : 1주차 수업을 마무리하며 수업에서 배웠던 콘텐츠를 만드는데 활용가능한 플러그인 중,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유저플로우를 만들어보고 그 방법을 복기해보고자 한다. * 플러그인(Plugin)은 피그마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구현가능하도록 보조적으로 돕는 확장 프로그램이다. 간단한 도형에서부터 아이콘, 샘플이미지로 활용가능한 테마별 사진, 그래픽 이미지 등 그때그때 필요한 기능을 직접 제작하지 않아도 곧바로 활용가능하도록 돕는다. * 유저 플로우는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적인 경로를 그린 것이다. 즉,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경험하는 모든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출처:https://boardm.. [PRE] DAILY_04 내가 생각하는 UI/UX 디자이너의 핵심 역량 1. 요구사항 ① (주)투비콘 Figma 기반으로 고객 여정을 설계할 수 있는 사람 플랫폼 내 다양한 사용자의 관점에서 프로덕트를 고민하고 To-Be를 시각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사람 요구사항에 따라 User Flow Case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민하고 디자인 할 수 있는 사람 기획 과정에 참여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고, 디자인한 기능이 "왜" 필요한지 알려줄 수 있는 사람 유관 부서 및 담당자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사람 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업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람 디자인 리서치(인터뷰, 사용자 테스트, 질적 데이터 분석등)의 직/간접적인 경험이 있는 사람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소통능력을 갖고 있는 .. [PRE] DAILY_03 비슷한 직무 JD분석 UX/UI 디자이너와 비슷한 직무의 JD 분석을 통해 직무 별 차이점을 이해하며 어떤 역량을 키워야 하는지 정확하게 알아본다. [UX Researcher / 웹 퍼블리셔 / 웹 디자이너] 1. 비슷한 직무 JD 기술 ● UX Researcher ① (주)레브잇 ○ 주요업무 : 유저 인터뷰 소싱 및 조율, 가설을 바탕으로 정량 및 정성 리서치를 수행하여 고객이 가진 문제를 발굴. 질문지 개선 등 리서치 설계부터 다양한 방법론을 수행하며 인사이트 도출. ○ 자격요건 및 우대사항 : 학력 및 전공제한 없음. UX 리서치 수행 경험 또는 이에 준하는 사람. 사용성 테스트, 심층 인터뷰, 설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론을 수행하고 실제 서비스에 반영한 경험이 있는 사람. 리서치 설계부터 인사.. [PRE] DAILY_02 JD**(**Job Description) 분석이란? JD란 현재 채용 중인 포지션이 어떤 일을 하는지 자세히 설명해놓은, 쉽게 말해 ‘채용 공고’를 일컫는다. 기업이 현재 원하는 사람에 대해 자세하게 작성되어 있는 채용 정보를 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나 스스로가 이 기업과 직무에 맞는 사람인지 이에 맞춰서 나의 어떤 점을 강조하여 지원할 수 있을지 UX/UI 디자인 직무 채용공고 분석 1. 관련 기업 혹은 업계 리스트업 ① (주)투비콘 ○ 주요업무 : 문제를 정의하고 Prototyping, UX/UI 디자인을 통해 시각적 해결책 제시. 가설에 기반해 생각하고 우선순위를 정해 검증하며 프로덕트 개선. 자사 서비스 프로덕트(Web/App)디자인. 사용자 중심의 UX 전략 및.. [PRE] DAILY_01 1. 내가 UX/UI 코스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효율적인 UX/UI 디자인이 무엇인지 알고 싶었다. 취업을 위한 실무기술 습득이란 이유가 없다면 거짓말이겠지만, 그보다 더 본질적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의 웹/앱에서 마주하는 디자인이 어떠한 논리와 이론을 통해 구성되는지, 나는 그 속에서 어떤 걸 구현해 낼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싶었다. 2. 내가 이해한 UX/UI 디자이너는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지식이 부족했을 땐 단순히 웹/앱에서 구현되는 UI를 단순히 보기좋게 만지고 다루는 디자이너 쯤으로 생각했다. 알아가면 알아갈수록, 조직 혹은 기업이 최종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하는 메세지를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틀을 구성해내는 사람으로 인식된다. 3. UX/UI 디자이너의.. 이전 1 ··· 6 7 8 9 다음